콘텐츠로 건너뛰기
  • 겉보기엔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결정이 사실은 완벽하게 합리적인 이유

    Selectorate Theory(선택 집단 이론)로 권력 구조를 이해하기 내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데 가장 유용하다고 느꼈던 사고 방식 중 하나는, 경영대학원이나 테크 블로그가 아니라 정치학에서 나왔다. 바로 Bruce Bueno de Mesquita가 주로 발전시킨 ‘Selectorate Theory(선택 집단 이론)’인데, 이 이론은 권력의 역학을 놀라울 만큼 명쾌하게 설명해준다. 독재 국가뿐 아니라 대기업, 투자자 집단, 그리고 혼돈의 스타트업 세계까지,…

  • 어떻게든 해내라

    내가 경영자, 이사회 멤버, 자문가, 그리고 친구로서 커리어를 쌓아오며 가장 자주 하게 되는 조언은, 사람들이 자신의 리더를 좀 더 직접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나는 중요한 목표를 맡은 사람들이 엄청난 어려움 속에서도 혼자 힘으로 어떻게든 해보려고 애쓰는 모습을 너무 자주 본다. 직관에 반하는 이야기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이런 역할을 맡은 사람에게 요구되는 건 ‘최선을 다하는 것’이…

  • 무게감 있는 것을 만드세요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것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정작 그 모든 것에는 아무런 무게감이 없습니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무게와 가치를 연결짓습니다. 금은 단단하고, 나무는 밀도가 높죠. 그리고 예전 문서를 종이에 출력해서 썼던 시절, 무거운 스테이플러(Stapler)는 일종의 사치품이었습니다. 어떤 것이 무겁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그게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도 그런 경우가 많죠. 무게감은 품질, 내구성, 존재감, 그리고 영속성을…

  • 성과를 만드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Marty의 말 가장 큰 틀에서 보면, 제품 모델로 전환한다는 건 곧 산출물 중심에서 성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으로 바뀐다는 뜻입니다. 개념적으로는 매우 단순하고, 그 가치 역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를 실천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다행히도, 이제 많은 분들이 실제로 고객이나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지 않는 기능만 단순히 출시하는 것은 큰 의미가…

  • 말 한마디로 현실을 만드는 시대

    말 한마디로 현실을 만드는 시대 감각과 전문성이 공존하는 새로운 일의 세계 영향력 있는 AI 연구자 Andrej Karpathy는 2년 전 “가장 핫한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는 영어(English)”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지난달에는 “vibecoding(바이브코딩)”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는데, 이것은 AI에게 원하는 것을 그냥 영어로 요청하고, 중간중간 피드백을 주면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저는 이 접근법이 단순히 코딩에만 국한되지 않고 훨씬 더 넓은 분야에…

  • ‘더 적게’라는 말에 숨겨진 잠재력

    제 연구 이야기를 하면, 뭔가를 더 나아지게 만들 때 우리가 ‘빼기(subtract)’라는 방법을 거의 쓰지 않는다는 데에 반박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실제로는 ‘그만둘 일(to-stops)’이 필요한데도 ‘해야 할 일(to-dos)’만 계속 쌓아간다거나, 좋은 행동을 장려하는 인센티브는 만들면서도 그 행동을 방해하는 장애물은 제거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면, 다들 공감하며 고개를 끄덕입니다. 1950년대에 비해 연방 규정이 17배나 길어졌다는 점이나, 특허 제목에서 ‘additive(더하는)’와…

  • 기존 일을 더 잘하기 vs 완전히 새로운 일을 하기

    기존 일을 더 잘하기 vs 완전히 새로운 일을 하기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우리는 보통 두 가지 방식으로 그 기술을 활용하게 됩니다. 첫째, 기존에도 할 수 있었던 일을 더 빠르고, 저렴하고, 쉽게, 혹은 더 높은 품질로 “더 잘” 하게 만드는 경우입니다. 둘째, 이전에는 아예 불가능했던 “완전히 새로운 일”을 가능하게 만드는 경우입니다. 신기술이 처음 등장했을 때는 대체로…

  • 자신만의 가치를 상품화세요

    남들과 차별화되는 나만의 강점을 찾아내고, 그 강점에 최대한의 레버리지를 더하세요 Nivi: 이 트윗 시리즈 전체를 딱 두 단어로 정리하셨잖아요, 바로 “자신을 상품화하라(Productize yourself)“라고요. Naval: 네, ‘상품화(Productize)’라는 말에는 나만의 전문성과 레버리지를 활용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고, ‘자신(Yourself)’이라는 말에는 고유함과 책임감이 들어 있습니다. 사실 ‘자신’도 고유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죠. 그래서 이런 모든 요소들이 결국 이 두 단어에 다…

  • 비난은 리더십을 무너뜨리는 가장 큰 적

    존 D. 록펠러는 1870년에 스탠다드 오일을 설립했습니다. 이 글은 그가 71세 때 아들 존에게 쓴 편지 중 하나입니다. (출처: 『J.D. 록펠러가 아들에게 보낸 38통의 편지』) 1910년 7월 24일존에게:만약 항상 남에게 뒤지지 않으려 하고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부자라고 생각하는 앤드루 카네기 씨가 나를 찾아와 아주 심각한 문제에 대해 상담했다면, 놀라겠는가? 사실, 그 위대한 대장장이가 바로 그렇게…

  • 리드 호프먼의 제품 확산 확산 전략 (Distribution Techniques)

    리드 호프먼은 링크드인의 공동 창업자입니다. 이 글은 그의 저서 『블리츠스케일링(Blitzscaling)』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실리콘밸리의 많은 사람들은 고(故) 스티브 잡스가 말한 것처럼 ‘미친 듯이 훌륭한(insanely great)’ 제품을 만드는 데 집중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훌륭한 제품은 분명 큰 장점이지만, 냉정하고 현실적인 사실은 좋은 제품에 뛰어난 확산 전략이 더해지면, 훌륭한 제품이지만 확산이 부족한 제품을 거의 항상 이긴다는 점입니다. 드롭박스는 훌륭한…

  • 워런 버핏, 조지아 대학 경영대학원 강연

    워런 버핏, 조지아 대학 경영대학원 강연 워런 버핏: 마이크 테스트. 백만, 이백만, 좋아요. 저는 오늘 네브래스카에서 왔는데, 여러분은 아마 저희를 주로 풋볼 팀으로 알고 있을 겁니다. 저희 팀은 하얀 헬멧에 빨간 ‘N’이 새겨져 있죠. 얼마 전에 주전 선수 중 한 명에게 ‘N’이 무슨 뜻인지 물었더니, ‘지식(Knowledge)’이라고 하더군요. 하지만 저희는 선수들에게도 쉽지 않은 시험을 봅니다. 풋볼…

  • 특별한 지식을 갖추세요 (Arm Yourself With Specific Knowledge)

    원문: Arm Yourself With Specific Knowledge Nivi: 필요한 기술들, 특히 특별한 지식, 책임감, 레버리지, 그리고 판단력에 대해 조금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이와 관련된 첫 번째 트윗이 “특별한 지식, 책임감, 레버리지로 무장하라”였는데요. 저는 판단력도 포함시키고 싶습니다. 그 트윗에서는 판단력에 대해 언급하지 않으신 것 같아서요. Naval: 돈을 벌고 싶다면, 많은 보상을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왜 ‘당신’이어야…

  • Basecamp 창업자들의 5가지 생각

    Jason Fried와 David Heinemeier Hansson은 Basecamp의 창립자입니다. 이 글은 그들의 저서 Rework 중 제가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다섯 가지 아이디어를 소개합니다. 무언가를 시작하세요 우리 모두 “내가 eBay 아이디어를 생각했었는데, 그때 실행만 했어도 지금쯤 억만장자가 됐을 거야”라고 말하는 친구 한 명쯤은 있죠. 하지만 그런 생각은 한심하고 착각일 뿐입니다. eBay를 떠올리는 것과 실제로 eBay를 만드는 건…

  • 대중의 반감 (The Disapproval of the Crowd)

    Alex Karp는 팔란티어(Palantir)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입니다. 이 에세이는 그의 저서 『The Technological Republic』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대중의 반감 (The Disapproval of the Crowd) 20세기 초 벽화를 그렸던 미국 화가 토마스 하트 벤튼(Thomas Hart Benton)은, 현대미술이 대중에게 친숙한 쉬운 예술 형식을 빠르게 대체하는 와중에도 끝까지 구상주의 화풍을 고수했다. 그는 뉴욕 아트 스튜던트 리그(Art Students League)에서 오랫동안 가르쳤으며, 그의…

  • 제품이 정말 위대하다면, 굳이 ‘좋을’ 필요가 없다

    이 에세이는 Gmail을 만든 Paul Buchheit가 쓴 글로, 2010년에 블로그에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제품이 정말 위대하다면, 굳이 ‘좋을’ 필요가 없다 이제는 모두가 iPad 얘기에 지겨울 만큼 들었겠지만, iPad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들이 전혀 본질을 짚지 못하고 있어서 이 기회를 그냥 넘기는 건 아쉬울 것 같다. 더 흥미로운 건, 2001년 iPod 출시 때도 똑같은 실수가 반복됐다는 점이다. 하지만…

  • 피터 틸이 만든 ‘페이팔 마피아’ 메커니즘

    이 에세이는 2014년에 처음 출간된 그의 저서 『Zero to One』(제로 투 원)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사고실험을 하나 해보자. 정말 이상적인 회사 문화는 어떤 모습일까? 직원들이 자기 일을 진심으로 좋아하고, 사무실에 오는 게 너무 즐거워서 굳이 근무 시간을 따질 필요도 없고, 누가 시계를 보며 퇴근만 기다리는 일도 없다. 사무실은 칸막이로 나뉜 답답한 공간이 아니라, 누구나 집처럼 편하게…

  • AI를 활용해 내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 방법

    몇 달 전, 연달아 워크숍을 진행하며 또 한 번 강도 높은 해외 출장을 마무리하던 중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정말 내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는 걸까?” 사실 이런 고민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할 만한 커리어, 즉 스타트업이 수십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도록 돕고, 임팩트 있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독립성을 유지하는…

  • AI 코파일럿과 지식 노동의 미래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접근법 Bob: Microsoft는 AI의 미래를 결정짓는 데 정말 큰 역할을 해왔죠. 잠깐 시간을 내서, AI에 대한 Microsoft의 비전과 미래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그리고 Microsoft 같은 대형 테크 기업이 이번 AI 혁신의 흐름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Kevin: 저희는 AI를 단순한 제품이나 연구 프로젝트로 보지 않습니다. 오히려 AI는 수많은…

  • Meta CTO Andrew Bosworth가 말하는 AI와 소비자 기술의 진화

    콘텐츠 소비의 미래 David George: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보죠. 앞으로 5년, 그리고 10년 뒤에는 우리가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게 될까요? Andrew Bosworth: 10년 후쯤이면, 단순히 휴대폰을 꺼내는 것 말고도 훨씬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우리 시야에 가져올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해요. 증강현실(AR) 안경도 충분히 현실적인 가능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더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도 지금보다 훨씬…

  • AI 자본 지출의 게임 이론

    AI 자본 지출의 게임 이론 “AI가 세상을 바꿀 것인가?”와 “현재 AI 인프라에 투입되는 자본 지출이 과도한가?”는 서로 다른 질문이다 “만약 AI가 인터넷만큼 혁신적일 것이 확실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한 AI 회사를 운영한다고 상상해보자. 얼마나 빠르게 자본 지출(CapEx)을 늘릴 것인가? 답은 ‘천천히 진행할 것’이다. ‘AI CapEx’는 토지, 전력, 철강, 산업 역량을 동원해 물리적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 확률적 사고방식

    확률적 사고방식 AI 도구는 우리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업무 방식까지 바꿀 것입니다 AI가 우리의 업무 방식을 바꿀 잠재력에 대한 설명은 이제 익숙합니다. AI는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직원의 영향력을 증대시키며, 업무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전체 산업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하지만 AI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실제 업무 경험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AI는 우리의 사고방식을 바꾸게 될까요? AI는 컴퓨팅의 새로운 시대를…

  • 글을 쓰는 사람과 쓰지 않는 사람

    글을 쓰는 사람과 쓰지 않는 사람 나는 기술에 대한 예측을 하는 것을 보통 꺼리지만, 이번만큼은 꽤 확신이 듭니다. 앞으로 몇 십 년 안에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 거의 남지 않을 것입니다. 작가로서 가장 이상한 사실 중 하나는 많은 사람들이 글쓰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입니다. 의사들은 걱정거리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잘 알고, 컴퓨터 전문가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