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 조지아 대학 경영대학원 강연
워런 버핏, 조지아 대학 경영대학원 강연 워런 버핏: 마이크 테스트. 백만, 이백만, 좋아요. 저는 오늘 네브래스카에서 왔는데, 여러분은 아마 저희를 주로 풋볼 팀으로 알고 있을 겁니다. 저희 팀은 하얀 헬멧에 빨간 ‘N’이 새겨져 있죠. 얼마… 더 보기 »워런 버핏, 조지아 대학 경영대학원 강연
워런 버핏, 조지아 대학 경영대학원 강연 워런 버핏: 마이크 테스트. 백만, 이백만, 좋아요. 저는 오늘 네브래스카에서 왔는데, 여러분은 아마 저희를 주로 풋볼 팀으로 알고 있을 겁니다. 저희 팀은 하얀 헬멧에 빨간 ‘N’이 새겨져 있죠. 얼마… 더 보기 »워런 버핏, 조지아 대학 경영대학원 강연
원문: Arm Yourself With Specific Knowledge Nivi: 필요한 기술들, 특히 특별한 지식, 책임감, 레버리지, 그리고 판단력에 대해 조금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이와 관련된 첫 번째 트윗이 “특별한 지식, 책임감, 레버리지로 무장하라”였는데요. 저는 판단력도 포함시키고… 더 보기 »특별한 지식을 갖추세요 (Arm Yourself With Specific Knowledge)
Jason Fried와 David Heinemeier Hansson은 Basecamp의 창립자입니다. 이 글은 그들의 저서 Rework 중 제가 가장 인상 깊게 읽은 다섯 가지 아이디어를 소개합니다. 무언가를 시작하세요 우리 모두 “내가 eBay 아이디어를 생각했었는데, 그때 실행만 했어도 지금쯤 억만장자가… 더 보기 »Basecamp 창업자들의 5가지 생각
Alex Karp는 팔란티어(Palantir)의 공동창업자이자 CEO입니다. 이 에세이는 그의 저서 『The Technological Republic』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대중의 반감 (The Disapproval of the Crowd) 20세기 초 벽화를 그렸던 미국 화가 토마스 하트 벤튼(Thomas Hart Benton)은, 현대미술이 대중에게 친숙한… 더 보기 »대중의 반감 (The Disapproval of the Crowd)
이 에세이는 Gmail을 만든 Paul Buchheit가 쓴 글로, 2010년에 블로그에 처음 공개되었습니다. 제품이 정말 위대하다면, 굳이 ‘좋을’ 필요가 없다 이제는 모두가 iPad 얘기에 지겨울 만큼 들었겠지만, iPad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들이 전혀 본질을 짚지 못하고 있어서… 더 보기 »제품이 정말 위대하다면, 굳이 ‘좋을’ 필요가 없다
이 에세이는 2014년에 처음 출간된 그의 저서 『Zero to One』(제로 투 원)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사고실험을 하나 해보자. 정말 이상적인 회사 문화는 어떤 모습일까? 직원들이 자기 일을 진심으로 좋아하고, 사무실에 오는 게 너무 즐거워서 굳이 근무… 더 보기 »피터 틸이 만든 ‘페이팔 마피아’ 메커니즘
몇 달 전, 연달아 워크숍을 진행하며 또 한 번 강도 높은 해외 출장을 마무리하던 중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정말 내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는 걸까?” 사실 이런 고민은 이번이 처음이… 더 보기 »AI를 활용해 내 강점과 약점을 파악한 방법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접근법 Bob: Microsoft는 AI의 미래를 결정짓는 데 정말 큰 역할을 해왔죠. 잠깐 시간을 내서, AI에 대한 Microsoft의 비전과 미래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그리고 Microsoft 같은 대형 테크 기업이 이번 AI 혁신의 흐름 속에서… 더 보기 »AI 코파일럿과 지식 노동의 미래
콘텐츠 소비의 미래 David George: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 보죠. 앞으로 5년, 그리고 10년 뒤에는 우리가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게 될까요? Andrew Bosworth: 10년 후쯤이면, 단순히 휴대폰을 꺼내는 것 말고도 훨씬 다양한 방식으로 콘텐츠를 우리 시야에 가져올… 더 보기 »Meta CTO Andrew Bosworth가 말하는 AI와 소비자 기술의 진화
AI 자본 지출의 게임 이론 “AI가 세상을 바꿀 것인가?”와 “현재 AI 인프라에 투입되는 자본 지출이 과도한가?”는 서로 다른 질문이다 “만약 AI가 인터넷만큼 혁신적일 것이 확실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한 AI 회사를 운영한다고 상상해보자. 얼마나 빠르게 자본… 더 보기 »AI 자본 지출의 게임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