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집 센 혁신가와 막무가내 바보
언제 멈춰야 하고, 언제 끝까지 밀고 나가야 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사실, 지나고 나서도 명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질문들이 그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수께끼 시나리오 1 (S1)(A) 시점에 AdWords 캠페인을 시작합니다.(B)… 더 보기 »고집 센 혁신가와 막무가내 바보
언제 멈춰야 하고, 언제 끝까지 밀고 나가야 할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사실, 지나고 나서도 명확히 알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질문들이 그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수께끼 시나리오 1 (S1)(A) 시점에 AdWords 캠페인을 시작합니다.(B)… 더 보기 »고집 센 혁신가와 막무가내 바보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집어삼켰다(Software ate the world)’는 말이 있죠. Uber와 Airbnb는 단순히 소프트웨어를 파는 회사가 아니었습니다. 이들은 시장 자체를 완전히 뒤흔들고, 기존의 룰을 새롭게 정의했죠. 그런데, 우리가 말하는 이 ‘파괴적 혁신(Disruption)’-과연 그 본질은 무엇일까요? ‘파괴적 혁신(Disruption)’이라는… 더 보기 »어떤 종류의 파괴적 혁신(Disruption)인가?
이제 AI가 사용자의 질문에 직접 답변해주면서 기존 웹사이트로 유입되는 트래픽이 급격히 줄고 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완전히 새로운, 파괴적인 유통 채널이 등장하고 있다. “AI 에이전트가 이제 인간 개발자보다 4배 빠른 속도로 Neon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있으며,… 더 보기 »아주 강력한 새로운 유통 채널의 등장
지난 10여 년 동안 테크 업계에서 정말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제로 세상에 출시해 왔어요. 중요한 프로젝트를 꼭 성공적으로 완수해야 할 때마다 저에게 리더십을 맡기는 경우가 많은데, 그건 제가 이런 일을 잘 해내기 때문이죠. 대형 테크 기업에서… 더 보기 »대형 테크 기업에서 프로젝트를 실제로 ‘출시’하는 법
Selectorate Theory(선택 집단 이론)로 권력 구조를 이해하기 내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이해하는 데 가장 유용하다고 느꼈던 사고 방식 중 하나는, 경영대학원이나 테크 블로그가 아니라 정치학에서 나왔다. 바로 Bruce Bueno de Mesquita가 주로 발전시킨 ‘Selectorate Theory(선택… 더 보기 »겉보기엔 비합리적으로 보이는 결정이 사실은 완벽하게 합리적인 이유
내가 경영자, 이사회 멤버, 자문가, 그리고 친구로서 커리어를 쌓아오며 가장 자주 하게 되는 조언은, 사람들이 자신의 리더를 좀 더 직접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나는 중요한 목표를 맡은 사람들이 엄청난 어려움 속에서도 혼자 힘으로 어떻게든 해보려고… 더 보기 »어떻게든 해내라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것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정작 그 모든 것에는 아무런 무게감이 없습니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무게와 가치를 연결짓습니다. 금은 단단하고, 나무는 밀도가 높죠. 그리고 예전 문서를 종이에 출력해서 썼던 시절, 무거운 스테이플러(Stapler)는 일종의… 더 보기 »무게감 있는 것을 만드세요
Marty의 말 가장 큰 틀에서 보면, 제품 모델로 전환한다는 건 곧 산출물 중심에서 성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으로 바뀐다는 뜻입니다. 개념적으로는 매우 단순하고, 그 가치 역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를 실천하는… 더 보기 »성과를 만드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말 한마디로 현실을 만드는 시대 감각과 전문성이 공존하는 새로운 일의 세계 영향력 있는 AI 연구자 Andrej Karpathy는 2년 전 “가장 핫한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는 영어(English)”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지난달에는 “vibecoding(바이브코딩)”이라는 개념을 소개했는데, 이것은 AI에게 원하는 것을… 더 보기 »말 한마디로 현실을 만드는 시대
제 연구 이야기를 하면, 뭔가를 더 나아지게 만들 때 우리가 ‘빼기(subtract)’라는 방법을 거의 쓰지 않는다는 데에 반박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실제로는 ‘그만둘 일(to-stops)’이 필요한데도 ‘해야 할 일(to-dos)’만 계속 쌓아간다거나, 좋은 행동을 장려하는 인센티브는 만들면서도 그 행동을… 더 보기 »‘더 적게’라는 말에 숨겨진 잠재력